광고
광고
연예

‘사의찬미’ 시대는 암울했고, 청춘은 슬펐다. 그럼에도 사랑은 피어났다

이혜경 기자 | 기사입력 2018/12/06 [07:21]

‘사의찬미’ 시대는 암울했고, 청춘은 슬펐다. 그럼에도 사랑은 피어났다

이혜경 기자 | 입력 : 2018/12/06 [07:21]

               <사진제공-SBS TV시네마 ‘사의찬미’>


‘사의찬미’ 시대는 암울했고, 청춘은 슬펐다. 그럼에도 사랑은 피어났다.

 

12월 5일 SBS TV시네마 ‘사의찬미’(극본 조수진/연출 박수진)이 5~6회 방송을 끝으로 종영했다. 단 3일의 시간 동안 안방극장을 찾아온 ‘사의찬미’는 그 어떤 장편드라마 못지 않은, 깊고도 묵직한 여운을 남기며 시청자와 아쉬운 작별을 고했다.

 

‘사의찬미’는 조선 최초 소프라노 윤심덕(신혜선 분)과 그의 애인이자 천재극작가인 김우진(이종석 분)의 일화를 그린 작품. 실존 인물,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그 동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콘텐츠로 수 차례 제작됐을 만큼 특별한 매력을 품고 있다. 이것이 SBS TV시네마 ‘사의찬미’라는 이름의 드라마로 재탄생, 안방극장 시청자를 찾아온 것이다.

 

일제강점기, 동경 유학생이었던 김우진과 윤심덕은 운명처럼 서로에게 끌렸다. 그러나 이들은 둘만의 사랑을 즐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김우진에게는 대쪽 같은 아버지와 사랑 없이 결혼한 아내가 있었고, 윤심덕에게는 부양해야 할 가족이 있었던 것. 이에 김우진은 일부러 윤심덕과 거리를 두려 했다. 자신에게 아내가 있다는 것도 알렸다. 그러나 이들의 사랑은 끊어지지 않았다.

 

그러던 중 두 사람을 향한 압박은 더 커져만 갔다. 김우진은 조국 독립을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의 나약함이 한스러워 글로나마 뜻을 표현하려 했다. 윤심덕 역시 우리말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무대라면 가리지 않고 올랐다. 그러나 그들에겐 암울한 시대로 인한 아픔, 아픈 손가락처럼 결코 베어낼 수 없는 가족의 존재만 무겁게 다가올 뿐이었다.

 

결국 두 사람은 ‘삶’을 위해 ‘죽음’을 택했다. 김우진은 온 힘을 기울여 쓴 희곡 한 편을 남긴 채, 윤심덕은 ‘사의찬미’라는 노래 한 곡의 녹음을 끝낸 후 함께 관부연락선 덕수환에 올랐다. 김우진과 윤심덕이 아닌, 각자의 호 김수산과 윤수선의 이름으로. 그리고 어둠이 내린 밤, 마지막일지도 모를 춤을 추고 서로에게 입을 맞춘 뒤 함께 사라졌다. 죽음도 갈라놓지 못한 사랑이었던 것이다.

 

SBS TV시네마 ‘사의찬미’는 100여년 전 이 땅의 가장 암울했던 시대, 그로 인해 누구보다 아팠던 청춘들, 그 안에서 피어난 붉은 꽃처럼 아름답고도 슬픈 사랑을 서정적인 스토리와 감각적인 연출, 영상미를 통해 고스란히 담아냈다. 특히 윤심덕과 김우진의 일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기존의 콘텐츠들과 달리, 김우진의 작품 세계를 집중 조명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했다.

 

연기력과 화제성을 동시에 갖춘 두 청춘 배우 이종석, 신혜선의 열연 역시 작품의 결을 특별하게 만들었다. 이종석은 순식간에 시청자를 몰입시키는 집중도, 안정적인 연기력, 뛰어난 완급조절을 통해 시대극에서도 완벽한 존재감을 발휘했다. 신혜선은 스토리에 맞춰 고조되는 윤심덕의 감정변화를 섬세하고도 깊이 있게 담아내며 극의 몰입도를 더했다.

 

100년 전 이 땅은, 나라 잃은 슬픔으로 그 어떤 곳보다 암울했다. 그 시대를 살던 청춘들은 아팠다. 그럼에도 예술과 사랑은 피어났다. 2018년을 사는 우리에게 100여년 전 시대의 슬픔, 청춘의 아픔, 진흙 위 연꽃처럼 피어난 예술, 죽음도 갈라놓지 못한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모두 보여준 SBS TV시네마 ‘사의찬미’. 3일이라는 방송 기간보다, 훨씬 더 길고 깊은 여운으로 남을 것이다.

 
[이혜경 기자] bluelullu@lullu.net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범죄자들이 선동의 깃발을 들고 나라를 흔드는데 한숨만 쉬고 있는 건 보수정치의 직무유기"- 윤희숙 전 의원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