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공연/문화 > 미술

최방실- 회화유희 繪畵遊戱 展- 2019년 하반기 갤러리 도스 본관 기획

김혜경 기자 | 기사입력 2019/08/30 [20:14]

최방실- 회화유희 繪畵遊戱 展- 2019년 하반기 갤러리 도스 본관 기획

김혜경 기자 | 입력 : 2019/08/30 [20:14]
최방실은 자신의 작업을 놀이라고 부른다. 작가는 선을 긋고 형상을 그리는 창작 행위 자체를 유희한다. 각각의 표면을 채우고 있는 조형은 불규칙적이면서도 어느 순간 반복된다. 그리고 동시에 저마다의 뚜렷한 성질을 구분한다. 마치 승부가 한창인 체스판을 보듯 관객들은 개별 패널의 서로 다른 역할과 방향성을 느낀다. 패널들은 서로 명확한 그리드로 구분되어 있지만 각 패널을 채우고 있는 유동성은 경계선을 뛰어넘으며 전체적으로는 경기를 관전하는 카메라의 움직임처럼 보는 이의 시선을 리드미컬하게 유도한다.


2019년 하반기 갤러리 도스 본관 기획

 최방실 회화유희 繪畵遊戱 展

2019. 9. 4 (수) ~ 2019. 9. 17 (화)


■ 전 시 명: 2019년 하반기 갤러리 도스 본관 기획

             최방실 회화유희 繪畵遊戱 展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Gallery DOS (갤러리 도스)

■ 전시기간: 2019. 9. 4 (수) ~ 2019. 9. 17 (화)
            
2. 전시내용

정교한 헝클어짐
           김치현 / 갤러리도스 큐레이터

  최방실의 작품은 원초적 쾌를 불러일으킨다. 물질을 다른 물질의 표면에 칠하기로 결심한 순간 손끝이 닿는 표면의 질감은 행위의 걸림돌이 되지 못한다. 그렇게 예술 행위의 주도권을 휘두르며 작가는 그 기원적 행위가 불러일으키는 쾌의 무아지경에 이른다. 작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우리는 무엇을 즐기고 있었으며 이 자각의 순간에도 계속 잃어버리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진다. 이는 언뜻 예술에 대한 모호하고 흔한 고찰일 수 있지만 현대인이라고 일컬어지는 우리에게 던지는 날카로운 물음이기도 하다. 환경-도시라는 경계선이 뚜렷한 공간에서 제각기 움직이는 우리에게 그 행위를 가능하게 해주는 원동력은 무엇인지 그리고 사람이 살아가기 때문에 잃어버린 이제는 목록조차 만들 수 없는 것들을 의식하게 해주는 환기로도 볼 수 있다.

   최방실은 자신의 작업을 놀이라고 부른다. 작가는 선을 긋고 형상을 그리는 창작 행위 자체를 유희한다. 각각의 표면을 채우고 있는 조형은 불규칙적이면서도 어느 순간 반복된다. 그리고 동시에 저마다의 뚜렷한 성질을 구분한다. 마치 승부가 한창인 체스판을 보듯 관객들은 개별 패널의 서로 다른 역할과 방향성을 느낀다. 패널들은 서로 명확한 그리드로 구분되어 있지만 각 패널을 채우고 있는 유동성은 경계선을 뛰어넘으며 전체적으로는 경기를 관전하는 카메라의 움직임처럼 보는 이의 시선을 리드미컬하게 유도한다.
 목재의 표면에 흡수된 잉크의 번짐과 결을 타고 흐르며 갈라지는 선의 형태는 질감이 주는 따뜻한 색감으로 인해 마치 동굴에 그려진 벽화를 보는 듯하다. 그 유동성을 따라가다 보면 차갑고 매끄러운 거울의 표면을 파도에서 튀겨진 파편처럼 뒤덮은 물질의 요철을 느낄 수 있다. 관객의 시선은 건조한 나무의 표면에 흘려진 잉크와 함께 흡수되고 거울에 비친 주변 사물의 형상과 함께 뒤섞인 후 작품으로 인해 인지하지 못한 자신의 형태를 향해 반사된다. 칸을 따라 계속해서 작품을 시선으로 더듬어가며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작품의 생경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 그렇게 우리는 작가의 행위에서 비롯된 작품을 촉각으로 느끼며 작가와 관객은 원초적 쾌라는 매듭으로 연결된다.

  최방실의 작업은 번짐과 흐름, 뿌려짐 같은 효과를 그저 우연에서만 기대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혼란스러운 효과를 차갑도록 정교하게 제어하고 계산적으로 재배치함으로 질서와 혼돈에 힘을 적절히 배분하고 공존시킨다. 이러한 양면성과 반전들은 사각형의 경계선마저 유기적으로 느껴지게 하며 동시에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잉크의 불규칙한 유동성도 박제시킨다. 병과 튜브에 담겨진 채 형태를 지니지 못했던 액체는 흐르고 뿌려지다 결국 말라붙어 물질성을 잃고 작품이 지닌 형상의 일부로 고정되며 기록된다. 이러한 매체의 본질은 앞서 이야기한 우리가 계속 잃어버리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는 작가의 질문과 맞아 떨어진다. 그렇게 각각의 물질을 작품으로 승화 시키며 행위는 작가가 이야기하는 원초적 쾌-놀이를 넘어서 의식이 된다.

▲  최방실- 회화유희 繪畵遊戱 展- 2019년 하반기 갤러리 도스 본관 기획   © 문화예술의전당

Play sereise
Wood paper on Asian ink, 2014

▲     © 문화예술의전당


Play sereise
5.25x25cm, Wood paper on Asian ink, 2014

3. 작가약력
2012 무사시노 미술대학 예술문화학과 졸업

개인전 및 단체전
2019 회화유희, 갤러리 도스 (서울)
2018 프랑스 바스티유센터 PAF 2018 in France
     일본 Magazine dazed with work
2017 밀라노 Museo Mineralogico 기획전
     스위스 르까르노 Ri Vellino Gallery
     밀라노 노보텔 호텔 아트페어
2016 루치아노 마탈롱 갤러리 초대전
     예술의 전당 Modern Art Show 초대작가전
     갤러리 세인 기획전 Story Teller
2015 시부야 히카리에 Art Award 초대작가전
     긴자 갤러리 Q Capture-2
     긴자 갤러리 Q 99
2014 시부야 히카리에 Art Arward 초대작가전
     한국 대사관 초대전시 Challenge in Japan
2013 무사시노 미술대학 기획전 ‘한’

▲     © 문화예술의전당

Play sereise
5.90x90cm, Wood paper on Asian ink, 2014

▲     © 문화예술의전당

Play sereise
9.25x25cm, Wood paper on Asian ink, 2014

▲     © 문화예술의전당

Play sereise
10.25x25cm, Wood paper on Asian ink, 2014

▲     © 문화예술의전당

Play sereise
11.25x25cm, Wood paper on Asian ink, 2014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범죄자들이 선동의 깃발을 들고 나라를 흔드는데 한숨만 쉬고 있는 건 보수정치의 직무유기"- 윤희숙 전 의원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