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공연/문화 > 무용

국립현대무용단 안성수 예술감독 신작 '검은 돌: 모래의 기억' , -작곡가 라예송, 음악감독으로 참여

이혜경 기자 | 기사입력 2019/09/06 [14:01]

국립현대무용단 안성수 예술감독 신작 '검은 돌: 모래의 기억' , -작곡가 라예송, 음악감독으로 참여

이혜경 기자 | 입력 : 2019/09/06 [14:01]
“전통을 포장 재료로만 사용하는 작업, 일상적 욕망의 숭고함을 무시하는 작업, 자기과시와 사회적 인정만을 지향하는 작업을 혐오하는 전통예술분야 창작자”라고 스스로 소개하는 작곡가 라예송이 음악감독으로 참여하는  국립현대무용단(예술감독 안성수) 신작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을 오는 11월 1일(금)부터 3일(일)까지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 공연한다.

▲ 국립현대무용단  안성수 예술감독 신작 '검은 돌: 모래의 기억' , -작곡가 라예송, 음악감독으로 참여    © 문화예술의전당


■ 안성수 예술감독 신작 <검은 돌: 모래의 기억>

√ 우연의 아름다움을 탐구하는 춤, 국악기로 그려내는 새로운 소리

√ 10월 브라질 상파울루 시립극장에서 초연 후 11월 서울 공연

국립현대무용단(예술감독 안성수)은 신작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을 오는 11월 1일(금)부터 3일(일)까지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 공연한다.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은 매년 새로운 감각을 자극하며 화제를 불러일으킨 안성수 예술감독의 2019년 신작으로, 안무가 안성수 특유의 탐미주의가 발현되는 작품이다. 안성수 예술감독은 “우리나라가 가진 가장 아름다운 것이 사람이고, 바로 그 사람의 춤과 음악이 무엇보다 아름답다”며 이번 신작이 ‘몸이 지니고 있는 본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것임을 밝힌다.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의 음악 역시 주목할 점이다. 2017년 <제전악-장미의 잔상>에서부터 안성수 예술감독과 작업해 온 작곡가 라예송이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의 작곡 및 음악감독으로 참여한다. 매번 음악과의 호흡을 중시해 온 안성수 예술감독답게, 이번 신작 또한 음악과의 교감이 매우 중요하게 다뤄진다.

한편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은 11월 서울 공연에 앞서 10월 4~5일 브라질 상파울루 시립극장에서 초연 무대를 갖는다. 이번 브라질 공연은 한국-브라질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브라질문화원의 초청으로 성사된 무대다.

▲     © 문화예술의전당

<검은 돌: 모래의 기억> 콘셉트 사진 ⓒBAKi

■ <검은 돌: 모래의 기억> 춤과 음악의 완벽한 합일을 추구하다

안성수의 춤 | 무용수 본연의 아름다움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은 안무가 안성수 특유의 탐미주의가 발현되는 작품이다. 안성수 예술감독은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은 무용수 본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해, 몸의 언어와 음악 사이의 합일점을 찾아간다. 안성수 예술감독은 “삶의 흔적에 대한 작품이다. 무용수들과 3년간 함께해온 흔적이기도 하다. 과거부터의 이야기를 꺼내놓는 느낌으로 만들었다”고 전했다.

<검은 돌: 모래의 기억> 속 모래의 비유는 결국 사람이다. 단단한 돌이 한줌 모래로 흩어지기까지 숱한 우연이 그 시간을 채우는 것처럼, 우연은 우리의 시간 위에 흔적을 남긴다. 시간에 새겨진 우연을 통해, 우리 각자의 존재는 고유함을 갖게 된다.

▲     © 문화예술의전당

안성수 예술감독 ⓒAiden Hwang  라예송 음악감독

라예송의 음악 | 움직임의 본질과 결합하는 무곡
<검은 돌: 모래의 기억>에 작곡 및 음악감독으로 참여하는 작곡가 라예송은 <제전악-장미의 잔상> <순례> 등의 작품을 안성수 예술감독과 함께하며 그의 음악적 동반자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작품에서는 국악기를 베이스로 한 새로운 춤곡을 통해, 움직임의 본질과 감각적으로 마주한다.

라예송 음악감독은 “모래가 처음에 무엇이었는지, 겉으로 보기에는 알 수 없지만 모래 안에는 그 모든 것이 남아 있다. 작품을 보면서 모래가 느껴진다면 ‘저게 무엇이었을까?’ 생각하면서 보면 재미있을 것이다”고 밝혔다.

■ 오픈-업 프로젝트로 미리 만나보는 <검은 돌: 모래의 기억>

√ 작품의 음악을 온전히 감상하는 무곡(舞曲) 콘서트
√ 신작을 더 먼저, 더 가까이 경험하는 스튜디오 리허설

국립현대무용단은 현대무용의 매력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오픈-업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해오고 있다. 오는 11월 1~3일 공연되는 <검은 돌: 모래의 기억>과 연계하여, 국립현대무용단은 무곡 콘서트와 오픈 리허설 등을 통해 신작을 미리 만나는 다양한 시간을 마련한다.

▲     © 문화예술의전당

<검은 돌: 모래의 기억> 연습 사진 ⓒAiden Hwang

무곡(舞曲) 콘서트는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의 ‘음악’을 만나는 자리다. 작곡 및 음악감독을 맡은 라예송과 5인의 연주자들이 출연해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을 연주하고, 안성수 예술감독과 함께 음악 창작과 연습 과정에 다양한 이야기를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풀어낸다.

오픈 리허설은 국립현대무용단의 연습현장을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기회로, 작품의 일부분을 참관한 후 안무가 및 출연 무용수와 함께 소통하는 시간을 가진다. 관객들은 오픈 리허설을 통해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을 가장 가까이서 마주하며 무용수와 함께 호흡하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현대무용을 낯설어 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현대무용의 움직임을 직접 체험하는 오픈 워크숍도 개최될 예정이다.

참여 신청은 9월 중 국립현대무용단 홈페이지(www.kncdc.kr)를 통해 가능하다.

▲     © 문화예술의전당


■ 안무가 프로필: 국립현대무용단 예술감독 안성수

▲     ©문화예술의전당

 

안성수는 탁월한 음악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정교하고 세련된 안무와 논리적인 움직임 분석이 돋보이는 작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국내 및 국제무대에서 주목받는 안무가다.

신문방송학, 영화학을 거쳐 안무가의 길로 들어선 안성수는 1991년 미국 뉴욕에 기반을 둔 ‘안성수픽업그룹’을 만들어 조이스극장, 링컨센터, DTW 등 다양한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귀국 후 1998년 한국에서 ‘안성수픽업그룹’을 재창단했다.

그가 안무한 <볼레로>는 2005년 ‘무용계의 노벨상’이라 일컬어지는 세계 최고 권위의 러시아 ‘브누아 드 라 당스’ 작품상 최종 후보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음악을 눈으로 볼 수 있게 하고 싶다”는 안무가의 평소 생각을 탁월하게 형상화한 <장미>는 2009년 무용예술상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후 독일·영국·네덜란드·스웨덴·덴마크·멕시코 등의 축제와 극장에서 초청 공연을 가졌고, 2014년에는 캐나다 공연예술마켓 CINARS의 공식 쇼케이스에 선정되기도 했다.

안성수는 발레·현대무용·한국무용 등 장르적 삼분법에 국한되지 않고 각각의 특징을 분리·해체·재구성한 작품을 통해 현대무용계뿐 아니라 발레와 한국무용계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2012년 국립발레단 50주년 기념작 <포이즈>를 안무하여 한국 창작발레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2014년 <2 in two>와 <진화의 예술>에서는 발레 무용수들과 현대무용 무용수들이 함께하는 무대를 선보였다. 2013년과 2014년에는 국립무용단 레퍼토리 시즌 <단>과 <토너먼트>을 연이어 안무하며 한국전통춤의 현대화 작업을 본격화했고 2014년부터 단계적으로 준비해온 <혼합>이 2016년 프랑스 국립 샤요극장에서 성공적인 초연 무대를 가지며 그 예술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2016년 12월 제3대 국립현대무용단 예술감독으로 취임한 안성수는 모두가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현대무용 창작을 통해 한국적 현대무용의 아름다움과 위상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 2017년 <제전악-장미의 잔상>, 2018년 <스윙> 등 신작을 꾸준히 발표하며 국내외 관객들의 호응을 얻었고, 2019년에는 국립오페라단 <마하고니 도시의 번영과 몰락>의 총연출과 안무를 맡아 오페라와 현대무용의 경계를 허무는 신선한 무대를 선보였다. 11월에는 신작 <검은 돌: 모래의 기억>을 통해 국악기를 베이스로 한 춤곡과 감각적인 몸의 언어가 결합하는 무대를 펼친다.

작곡·음악감독 프로필: 라예송

▲라예송     ©문화예술의전당

 

라예송은 중학교 과정부터 전통음악 전문 음악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았다. 현 시대를 살아가는 창작자로서 전통음악과 창작에 대한 깊은 고민을 가지고 있다.

“전통을 포장 재료로만 사용하는 작업, 일상적 욕망의 숭고함을 무시하는 작업, 자기과시와 사회적 인정만을 지향하는 작업을 혐오하는 전통예술분야 창작자”라고 스스로 소개하는 작곡가다.


○수상
국립국악원 학술상 평론상(2015)

○주요 작품
국립현대무용단 <검은 돌: 모래의 기억>(2019)
무용극 <이상한 나라의 토끼>(2019)
국립현대무용단 <순례: 나를 찾아 떠나는 여정>(2018)
라예송 작곡발표회 <흰 연기, 너머 Ⅱ-밀실 노가다>(2018)
국립현대무용단 <제전악-장미의 잔상>(2017)
라예송 작곡발표회 <흰 연기, 너머>(2017)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범죄자들이 선동의 깃발을 들고 나라를 흔드는데 한숨만 쉬고 있는 건 보수정치의 직무유기"- 윤희숙 전 의원
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