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연수 개인전 'Im’pression', 갤러리 도스 기획
이혜경 기자 | 입력 : 2022/06/02 [07:14]
갤러리도스 기획 정연수 개인전 'Im’pression'
2022. 6. 8 (수) ~ 2022. 6. 14 (화)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Tel. 02-737-4678
▲정연수, 싱크대 5 _ am 7h 26m, oil on canvas, 116.8×80.3cm, 2021 © 문화예술의전당
|
1. 전시개요
■ 전 시 명: 갤러리 도스 기획 정연수 ‘Im’pression’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갤러리 도스 제1전시관(B1)
■ 전시기간: 2022. 6. 8 (수) ~ 2022. 6. 14 (화)
2. 전시서문
모두의 에세이
김혜린 / 갤러리 도스 큐레이터
익숙한 것들을 새롭고 사랑스럽게 바라보기란 쉽지 않다. 익숙한 것들은 빛을 받는 대상이 아닌 배경으로서 우리로부터 멀어져 있기 때문이다. 특별한 걔기를 맞지 않는 이상, 이제는 단지 스쳐지나가게 된 것들은 시야로부터 잠자코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렇게 변화가 없을 것 같던 익숙한 배경도 어느 날엔가 어수선한 분위기를 내뱉기 시작한다. 현대사회를 사고처럼 습격한 전염병은 사람들의 생활양식을 바꾸어 놓았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전염병이 유행하는 시기가 장기화되자 사람들은 전염병의 시대라 불리는 상황에 적응해 나가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는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반경은 집안으로 축소되었다. 매일 아침 버스나 지하철에 탑승하기보다는 방에서 컴퓨터를 켜는 것으로 출근을 했고 화상회의 앱을 통해 출석이 확인되고 수업을 듣고 회의를 했으며 비대면 온라인 플랫폼의 인기가 급증했다. 외부 출입을 자제하더라도 감염을 피하지는 못해 확진 판정을 받은 이들은 가정 혹은 외부에 얼마간 따로 격리된 채로 지냈다. 닦고 씻어내야 할 것들은 몇 배로 늘어났고 현관문 앞은 비대면으로 배송되는 물건들이 점령하게 되었다. 그 어떤 외부가 개입되지 않고 집안으로만 공간이 획정되면서부터 익숙하다고 여겨졌던 일상의 것들이 반란을 일으키기 시작한 것이다.
익숙하게 여긴다는 것은 무의식중에라도 오래도록 그리고 꾸준하게 시선이 닿았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잘 알고 있다고 여길 수는 있으나 단지 여기는 것일 뿐이지 사실로써 잘 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잘 안다고 믿었던 것들도 예상치 못한 기회를 얻는다면 하루 새에도 모습을 달리하며 감각을 덮치듯이 확 밀려올 수가 있는 것이다. 전염병의 시대가 우리에게 남긴 과제 중의 하나가 바로 이 관찰을 통한 다르게 보기인 셈이며, 기회로써의 관찰을 촉매 삼아 관성처럼 느껴지던 것들을 새롭게 보도록 시도함은 생활밀착형 예술가로서의 진지하고도 천진한 시각의 노력이다.
정연수가 선보이는 작품세계의 근간이 여기에 있다. 작가는 평소 일상적이고 평범하며 지극히 개인적이라서 닫혀 있다고 생각되던 보통의 공간 즉 가정과 집안을 화면 안으로 밀접하게 끌어오는 데 성공한다. 화면에 구현된 설거지거리가 쌓여 있는 싱크대, 악취가 전해질 것만 같은 쓰레기, 빨랫감들이 한가득 쌓여 있는 세탁바구니, 사람이 머물고 지나간 흔적이 남아 있는 거실과 화장실 등은 평범한 여느 때라면 보잘것없다는 이유로 도외시될 것들이다. 하지만 작가는 우울하고 공격적인 시선으로 그것들을 바라보며 은폐하려고 하지 않고, 익숙함을 경유함으로써 친근함의 가치에 방점을 두는 시선으로 그것들을 정확히 응시한다. 이 응시는 감정을 소비한다. 감정의 소비는 아름답고 밝은 것에 대한 동경 즉 빛으로 양해된다. 그리고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빛을 머금은 색채들은 뿌리고 흘리며 물감의 층을 차용하는 화법을 통해 화면을 조명하고 보정하는 필터의 역할을 한다.
어떠한 필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분위기가 달리되는 사진처럼, 작가의 응시를 통해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비일상적 일상은 어느새 우리들 일상의 자그마한 모습들로 자리매김한다. 모두를 치유하는 추억으로 회상된다. 모두가 공유하는 공감의 에세이가 된다. 이는 단지 바라볼 뿐이 아니라 일상의 배경들로 머무를 뻔한 것들을 일상의 대상으로 승화할 줄 아는 생활밀착형 예술가의 세심한 배려 덕분이다. 작품의 전면에 당당하게 드러나는 정연수의 응시는 바로 아름다움으로의 환기를 서술한다. 이는 곧 아름다운 것들을 아름다운 대로 사랑하는 눈길이다. 이러한 정연수의 눈길을 통해 새롭고 사랑스럽게 존중받는 우리의 일상을 느끼기를 바란다. 인간애에 대한 첫 페이지가 우리를 헤아린다. 모두를 위한 모두의 에세이가 펼쳐진다.
▲ 정연수, like(자가격리자의)아침식판 211029 after, 31.8x40.9cm, oil, acrylic on canvas, 2022 © 문화예술의전당
|
▲ 정연수, like(자가격리자의)아침식판 211029 before, 31.8x40.9cm, oil, acrylic on canvas, 2022 © 문화예술의전당
|
3. 작가노트
Im’pression
삶은 pression이다. 나를 누르는 압력, 나에게 주어진 부담감pressure이다.
좀처럼 끝나지 않는 육아의 시간, 아니, 이제 곧 끝이 보일 것만 같은, 깜깜한 터널 끝에 ‘점 같은 빛’이 보이는 순간에 코로나 상황이라는 강력한 압박, 잠금 장치가 덧입혀졌다.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 제한된 공간과 마스크 안에 갇힌 ‘답답함’, 가중된 육아의 ‘부담감’이 그것이다.
그래서 빛도 pression이다. 작은 공간과 사물에 가해지는 또 다른 압력이다.
점 같은 그 빛이 거대한 빛이 되어 나를 놀리는 듯하다. 창을 통해 쏟아지는 빛은 눈살을 찌푸리게하고 암막 커튼을 확 쳐버리게 만드는 부담감의 원인제공자다.
차츰. 실내에 들어오는 빛을 바라보게 되었다. 시시각각 변하는 빛의 색감을 관찰하게 되었다. 설거지더미와 세탁물더미, 쓰레기통에도 빛은 찬란하게 임한다. 그 곳(대상)을 오랫동안 열심히 바라본 사람들만이 알아볼 수 있는 변화와 매력의 요소가 있다고 하지 않았던가. 19c후반 20c초에 활동했던 인상주의 화가들은 그 빛을 화폭에 담으러 밖으로 나갔다면, 나는 창을 통해 빛과 함께 실내로 들어왔다. 심리적 부담감을 빛으로 해석하고 해소의 지점을 찾아가게 되었다.
그 동안 올려보지 못한 가을하늘(2020년 blueBlue series)과 코로나가 바꿔 놓은 인적 없는 연말연초의 거리풍경(2020-21년 B4N series), 현관 앞 택배상자가 쌓이는 풍경, 격리와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식판(2021년 like (자가격리자의) 아침식판 series)은 코로나란 특수한 상황이 준 기록으로서의 회화이다.
이러한 부담감pression은 내가 존재(Im)하도록 선물한 인상이다. 고로 빛은 인상Im’pression이다.
4. 작가약력
정연수 Jeong, Younsoo
1997 서울예술고등학교 졸업
2002 홍익대학교 회화과 학사
2006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석사
Solo Exhibition
2022 「Im’pression」, 갤러리도스, 서울
2020 「Dear. D. L.」, 가고시포갤러리, 서울
2009 「윈도우전」, 윈도우갤러리, 갤러리현대, 서울
2008 「mommy was born」, 노암갤러리, 서울
2005 「정화」, 석사학위청구전, 서울국제디자인플라자, 서울
Group Exhibition
2010 「Do Window Vol.2」, 갤러리현대, 서울
2009 「3rd Summerfish Project; House」, 역삼동 725-20 서울
「동심동화」, 가나아트센터, 서울
2005 「캔디정신전」, (이대 김옥길박물관) ,서울, 한국
「contemporary project」, cps32 갤러리, 뉴욕, U.S.A.
「미래는 오늘부터」한일교류전, 북한강갤러리,
「파란-정화(淨華)」 석사학위청구전, 서울국제디자인플라자
「2nd cutting edge」,서울 옥션스페이스
2003 「話人熱展-now&here image」, 한전갤러리
「2003청년우수작가 프랑스 교류전」, 갤러리 파리 보부르, 프랑스
「유쾌한 공작소」, 서울시립미술관-600주년 기념관
「예술가는 마법사」,아트사이드
2002 「날아가는 돼지열차」, 5호선 지하철내부
「2002잠실재개발프로젝트 :살기 좋은 동네 잠실, 안양의 명당 석수」,
잠실송전초교, 안양stone&water갤러리
「G.P.S.-where is where」,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기억 그리고 흔적」, 방배동 무지개아파트 5-803
▲ 정연수, reflection 6 거실 _ pm 4h 18m, oil on canvas, 60.6×72.7cm, 2022 © 문화예술의전당
|
▲ 정연수, reflection 7 부엌 _ pm 4h 18m, oil on canvas, 60.6×72.7cm, 2022 © 문화예술의전당
|
▲ 정연수, reflection4 현관앞, oil on canvas, 90.0x72.7cm, 2021 © 문화예술의전당
|
▲ 정연수, 세탁햄퍼5 am8h14m, oil on canvas, 91.0x72.7cm, 2021 © 문화예술의전당
|
▲ 정연수 개인전 'Im’pression', 갤러리 도스 기획 © 문화예술의전당
|
정연수 개인전 'Im’pression', 갤러리 도스 기획
<저작권자 ⓒ 문화예술의전당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포토뉴스
- 춘강 구홍덕 원장- 이 달의 운세- 2023년 계묘년 12월의 운세
- 포토뉴스
- 당신이 꼭 한 번 만나야 할 우리시대 최고의 연극 -'삼류배우' -기립박수 , 연속 매진 행진, 강태기 배우 출연
- 포토뉴스
- 송년특별기획 - 인천시립무용단 해외공연용 브랜드작품 < 춤, 풍경 > 부평아트센터 해누리극장
- 포토뉴스
- 대구오페라하우스, 오페라 본고장 이탈리아 진출! ,이탈리아 페라라시립극장 Teatro Comunale di Ferrara
- 포토뉴스
- 국회, 중국 탈북민 강제 북송 중단 촉구 결의안 채택… 기권한 의원들 비난
- 포토뉴스
- < 나를 잊지 말아요 > 극단 행복한 사람들 창단 10주년 기념작 , 김담희, 정성호 출연 연극이다. 안 보면 손해!
- 포토뉴스
- 감사원, 문재인 정부 ‘서해 피살사건’ 은폐 및 거짓말 적발
- 포토뉴스
- 김병수 김포시장 “서울편입, 총선용 아냐.. 김포특수상황 이해 필요”
- 포토뉴스
- 표현주의 연극의 정수 < 절대신호> 한국초연 작, 박지호 귀국 최초의 출연작품,朴志湖出演, 解放以後中国劇作家最初紹介作
- 포토뉴스
- 비단꽃이피었네, 김선정 작가의 삶과 예술의 이야기- 갤러리 도스 기획 김선정 ‘비단꽃이피었네’
- 포토뉴스
- 권진아&이진아&블루파프리카가 청춘들에게 전하는 위로, 2023 밴드데이 < 서로의 온기 >
-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 행사, 경제계 환영 일색
- 포토뉴스
- 트로트 뮤지컬 차차차 - 이번엔 트로트 뮤지컬이닷! 씹어라! , 테크노 뽕짝 부터 전통 트로트 까지,미친듯이 놀아봐~
- 포토뉴스
- 대전십무((大田十舞) 공연, 대전의 아름다움을 춤으로 표현하다
- 포토뉴스
- < 버스킹 메모리즈 콘서트 > - 더 웜스, 김마스타 트리오, 오마르와 동방전력, 갤럭시 익스프레스, 아카시아, 자전거 탄 풍경
- 포토뉴스
- 피아니스트 최진아가 펼치는 고전과 낭만의 밤 '피아니스트 최진아 리사이틀'
- 포토뉴스
- < 너를 찾아서 >실화를 바탕으로 한 클래식 멜로- 아카데미 음악상 수상 작곡가 ‘얀 카츠마렉’과 프라하 필하모니아가 선사하는 사랑과 음악의 하모니!
- 포토뉴스
- 인천시립무용단의 최신작 < Water Castle (워터캐슬) - 토끼탈출기 >, 고양아람누리 아람극장
- 포토뉴스
- 트로트 뮤지컬 차차차, 유쾌하고 수다스러운 이박사, 씹어라,극단 느낌,김주현, 노기홍, 박아롱, 윤미영, 이장원, 김선영 ,박소윤, 장언, 박채원, 정필구
- 포토뉴스
- 탈북자 강제송환 반대, 박진 외교부 장관 중국에 통보- "탈북자들의 강제 송환을 막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최선을 다할 것"
- 포토뉴스
- 우씨, 멍멍이에게 권하는 그림책 "화가 나서 그랬어!" - 엄마와 아이가 함께 읽을 때 더욱 의미 있는 그림책
- 포토뉴스
- 통일부, 북한 억류자 가족들도 납북 피해자로 인정
- 포토뉴스
- 정영모 초대전 “A Story of Home Town” - 장은선갤러리
- 포토뉴스
- 문화예술의전당, 연극클럽'무서운관객들' 합동 시월 소풍 - 신청 마감
- 포토뉴스
- 판타스틱 뮤직 어드벤처 < 드림쏭2 > 오늘 개봉! N차 관람 뛰게 만드는 관람 포인트 TOP 3 공개!
-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넉넉하고 행복한 한가위 되시길 바랍니다”, “민생이 늘 한가위 같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포토뉴스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한국 최고의 연출가 채윤일 연출, 김소희, 이승헌, 김하영, 강호석 등 최고의 정통 연극 배우 총 출연
- 포토뉴스
- 닷새 동안 41개 정상과 양자 회담! 대한민국 외교사의 새 역사를 쓴 윤석열 대통령
- 포토뉴스
- 국립현대무용단 < 정글-감각과 반응 > - 김성용 단장 겸 예술감독의 안무작,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포토뉴스
-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JESUS CHRIST SUPER STAR,'I don't know how to love him,마이클리, 박은태,윤도현,김신의,한지상,정선아,장은아
- 포토뉴스
- 뮤지컬 우당탕탕 아이쿠, 쉽고 재미있게 안전수칙 전하는 최고의 뮤지컬 우당탕탕 아이쿠
- 포토뉴스
- < 우리의 하루 > 홍상수 감독 30번째 장편영화 '우리의 하루', 제76회 칸국제영화제 감독주간 폐막작,기주봉, 김민희, 송선미, 박미소, 하성국, 김승윤 출연,
- 포토뉴스
- 골드베르크 변주곡 -연극을 카피하는 연극이 아니라 삶을 창조하는 연극." - 이기도 연출,극단 인혁, 박용수, 김중기, 최원석, 김혜민, 황연희, 최근창
- 포토뉴스
- 모두가 권하는 참된 연극 < 스프레이 > - 연극이 갖는 재미, 효용, 시대정신 모두 들어간 요즘 볼 수 없는 한국의 참된 연극
- 포토뉴스
- < 칼치 > 지하창작소 제자백가의 충격 연극 - 극한의 상황 속에 처해있는 인간의 온갖 군상 무대에서 표출, 전율. 긴장. 공감
- 포토뉴스
- 서울시, 반려인과 반려동물 위한 ‘서울 반려동물 한마당 축제’ 10월 8일 개최
- 포토뉴스
- ‘달리랜드’ - 길게 뻗은 콧수염, 흘러내리는 시계, 천재 혹은 괴짜 당신이 궁금했던 달리의 모든 것!
- 포토뉴스
-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 김미숙, 김소희, 이승헌, 장재호, 최영, 추은경, 곽지숙, 임정도, 오성택, 양홍석 ,정연진, 김하영, 신재훈
-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방문 첫날부터 원전·고속철도 건설 등 세일즈 외교,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총력
- 포토뉴스
- 햄릿, 연희단거리패, 이윤택 연출, 국립극장 공연,지현준,김소희,장재호,한갑수,이승헌,박선주,변혜경,김광룡,김낙균,최홍준,심완보,류경희,이윤택,조인곤,김미숙,정동숙
- 포토뉴스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테네시 윌리암스 작,채윤일 연출 , 이채경 번역,미쓰미 신이치 음악, 김소희,이승헌,김하영,강하석,김아라나,박근홍,황지나,이건희,블랑쉐,스텐리,스텔라
- 포토뉴스
- 극단 신주쿠양산박 - 김수진 연출의 "해바라기의 관", 유미리 원작, 당신은 날 사랑합니까~? "한글만 알고 한문 모르는 세대는 ... "
- 포토뉴스
- 골드베르크 변주곡 - 연극을 카피하는 연극이 아니라 삶을 창조하는 연극." - 이기도 연출,극단 인혁, 박용수, 김중기, 최원석, 김혜민, 황연희, 최근창
- 포토뉴스
- 베케트, 정일성 그리고 장두이… 노벨문학상에 빛나는 사무엘 베케트의 부조리극 - 게임의 종말, END GAME, 게임의 승부,
- 포토뉴스
- 국립현대무용단 신임 김성용 단장 겸 예술감독 기자간담회 - "모두와 함께 춤추는 현대무용"
- 포토뉴스
- 배우 이청아 '연인' 남궁민과 엮이는 파란 복면의 미스터리한 인물로 합류!
- 포토뉴스
- 연극 '그녀의 봄' , 백척간두의 위태로운 이 시기에 나는 왜 이 공연을 다시 보는가? 최원석, 윤상화,신덕호,최광일,채국희,정승길,조은영,조주현,김상천 출연, 김학선 작.연출
- 포토뉴스
- ‘연인’ 내일(1일) 이청아 첫 등장, 정체불명 파란 복면의 여인 ‘강렬’
- 포토뉴스
- ‘엔니오: 더 마에스트로’ -엔니오 모리꼬네 홀릭!,전 세대 사로잡으며 입소문 광풍! 완벽한 음악 영화! 뮤지션, 아티스트 극찬!
- 포토뉴스
- 최훈차콰이어, 제25회 정기연주회, 오는 10월 1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포토뉴스
- 성민제×최진배 “두 대의 베이스로 만드는 세상“ - 2023 커피콘서트 Ⅶ,
- 포토뉴스
- "후쿠시마 오염수 극비문서 발견 ", 윤서인 충격 단독! , 후쿠시마 오염수? 광우'뻥' 선동에 또 당하시겠습니까?,
- 포토뉴스
- 문밖에 있는 당신, 도대체 누구야? < 맨 인 더 다크 > 잇는 하우스 스릴러의 탄생! <히즈 아웃 데어> 8월 18일(목) 오늘 대개봉!
- 포토뉴스
- 국립현대무용단 < 여자야 여자야 >, 안무가 안은미 초청 신작 , 장영규 음악
- 포토뉴스
- 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박용수,우미화,정인겸,엄혜란,조주현,최정화,극단 이루,손기호 작.연출
- 포토뉴스
- 박물관 속 작은 전시 ‘비녀’ - 대전시립박물관
- 포토뉴스
- "시진핑은 독재자", 미국 바이든 대통령
- 포토뉴스
- 뮤지컬 '캐치 미 이프 유 캔', Musical 'catch me if you can'
- 포토뉴스
- 후쿠시마 오염수? 광우'뻥' 선동에 또 당하시겠습니까?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에 대한 과학의 진실을 말한다.
- 포토뉴스
- < 풍재기시 > 양조위 X 곽부성, 차가운 공기를 담아낸 푸른 색감이 짙은 홍콩 누아르의 감성과 뜨겁게 들끓는 야망
- 포토뉴스
- 윤 대통령- "대한민국은 자신을 던져 나라와 국민을 지켜낸 영웅들의 피 묻은 군복 위에 서 있다"
- 포토뉴스
- 골드베르크 변주곡 - 이게 모든 세상 중에서 가장 좋은 세상입니까? - 이기도 연출,극단 인혁, 박용수, 김중기, 최원석, 김혜민, 황연희, 최근창
- 포토뉴스
- 우크라이나, 뱅크시 벽화 우표 발행, '업어치기 한판, 승리는 우크라니아에!' 소망 담아
- 포토뉴스
- 전세권 연출의 ‘극단 제3극장’은 한국 최초의 창작뮤지컬 ‘새우잡이’를 국립극장 무대에 올린다.
- 포토뉴스
-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보훈…‘국가보훈부’ 공식 출범
- 포토뉴스
- 한국 최초 창작뮤지컬은 가수 전인권 형 전세권 연출의 '카니발 수첩'이다
- 포토뉴스
- 이건 꼭 봐야해!" < 메리 마이 데드 바디 >를 관람해야 할 이유 셋!
- 포토뉴스
- 윤 대통령 “민간단체 보조금 비리…단죄, 환수 조치 철저히 하라”
- 포토뉴스
-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 길성원, 김철호,곽은태, 전수경, 남경주,스카이,사라,musical guy & dolls,
- 포토뉴스
- 홍자X윤종신 봄 캐럴 '꽃놀이 가요' 발매...'홍자의 반전 매력 선사 예정'
- 포토뉴스
- 뮤지컬 '헤드윅', 여자가 연기하는 남자, 헤드윅 남편 '이츠학'역 조진아
- 포토뉴스
- “중국이 적대행위 안하면 한중 경제문제 얼마든지 해결”- 윤석열 대통령 ‘워싱턴 선언’ 비난한 중국 비판
- 포토뉴스
-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 세종문화회관 공연 , 김철호,길성원, 전수경, 남경주 ,강대진 연출, 서울시뮤지컬단
- 포토뉴스
- COZ,코즈,길성원,뮤지컬 배우 길성원,세종문화회관 정오의 예술무대 -2005년 공연 실황
- 포토뉴스
- 크로스오버 밴드 COZ - 길성원 배우 사회/노래 - 세종 문화회관 뜨락축제 공연 [동영상]
- 포토뉴스
- 나라를 빼앗긴 티베트 아이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 노마드션 No mad Shaun
- 포토뉴스
- “정치에서 멀어지면 민주주의로부터 멀어진다!”_배우 심은경, 일본아카데미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최고작품상 심은경이 열연한 '신문기자
- 포토뉴스
- 날씨 흐리고 기분 축 처지는 힘든 날에 듣는 음악 - COZ, 뮤지컬 배우 길성원
- 포토뉴스
- 한국 최초의 창작뮤지컬은 전세권 연출의 000 이다 - 최초 블랙리스트에 희생 당한 한국 최초 뮤지컬
- 포토뉴스
- < 보이첵 >게오르그 뷔히너 미완성 희곡, 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
- 포토뉴스
- 장은선갤러리 이원태 초대전 “ 시간의 겹...세월의 겹 ”
- 포토뉴스
- < 라이드 온 > 올타임 레전드 성룡의 귀환! 노브레이크 코믹액션
- 포토뉴스
- < 해피 투게더 리마스터링 > 왕가위 감독, 장국영 & 양조위 환상적인 앙상블!
- 포토뉴스
- 일본 아카데미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심은경 주연 '신문기자- “정치에서 멀어지면 민주주의에서도 멀어진다
- 포토뉴스
- 한국 최초 창작뮤지컬은 가수 전인권 형 전세권 연출의 '카니발 수첩'이다
- 포토뉴스
- < 카베에 > 국립현대무용단 , 안무 황수현
- 포토뉴스
- 대구오페라하우스, 오페라 본고장 이탈리아 진출! ,이탈리아 페라라시립극장 Teatro Comunale di Ferrara
- 포토뉴스
- 배우 심은경, 일본아카데미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최고작품상 심은경이 열연한 '신문기자'
- 포토뉴스
- 사중주 , 극단 쎄실, 채윤일 연출, 하이너 뮐러 작, 배보람,윤정섭 열연, 연극 四重奏 , Quartett
- 포토뉴스
- 뮤지컬,musical, 한국 최초의 창작뮤지컬은 과연 어떤 작품인가?(3)
- 포토뉴스
- 한국 최초 창작뮤지컬은 가수 전인권 형 전세권 연출의 '카니발 수첩'이다
- 포토뉴스
- 춘강 구홍덕 원장 - 2023 계묘년(癸卯年) 올해의 운세, 올해 내 운세, 띠 별 올해 운세
- 포토뉴스
- 춘강 구홍덕 원장 - 역학으로 풀어보는 2023 계묘년(癸卯年) 운세
1/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