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공연/문화 > 미술

안은영 개인전 '흐르다', 갤러리 도스

이혜경 기자 | 기사입력 2022/06/10 [09:22]

안은영 개인전 '흐르다', 갤러리 도스

이혜경 기자 | 입력 : 2022/06/10 [09:22]

안은영 개인전 '흐르다'

2022. 6. 14 (화) ~ 2022. 6. 20 (월)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Tel. 02-737-4678  

 

▲ Self-portrait_4(의식과 무의식) Acrylic on canvas 162.2x130.3cm 2022, 안은영 개인전 '흐르다', 갤러리 도스  © 문화예술의전당

 

1. 전시개요 

■ 전 시 명: 안은영 개인전 ‘흐르다’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갤러리 도스 제2전시관(2층)

■ 전시기간: 2022. 6. 14 (화) ~ 2022. 6. 20 (월) 

 

▲ My son_2(절규) Acrylic on canvas 130.3x97.0cm 2022, 안은영  © 문화예술의전당



1. 전시서문 

 

나의 분신, 너의 자아, 우리의 ‘관계’

          최유진(전시기획자‧강화미술도서관 관장)

 

1. 작가 안은영의 첫 개인전 키워드인 ‘관계’는 다양하게 연결된 채 고통과 행복을 함께 나누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의 그림들은 그 속에서 잉태된 사변적 역사와 의미, 상호 이해관계에 관한 시각적 서술이다. 

작가는 자신과의 인과성을 전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색’을 택했다. 색은 말 그대로 감정 및 인식과 관련한 작용과 의지, 지각의 총체다. 색이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형상 나와 예술의 접점이자 예술의 지속에 관한 스스로의 태도를 규정하는 차원에서 미술사 속 등장하는 익숙한 형상을 가져왔다. 

에선 다른 장르 간의 해체와 결합, 과거 작품의 재해석, 미완성적인 표현 등에서 안은영의 조형방식을 확인 할 수 있다. 

 

그에게 조형은 청색과 황색, 검은 색 등이 다채롭게 사용된 인물화로 구체화된다. 그 인물화들은 익히 잘 알려져 있는 타인의 얼굴이다. 하지만 그저 사람의 용모를 본떠 그린 그림은 아니다. 어느 작품은 다소 구상적이고, 또 어느 작품은 완전한 추상에 가깝다. 상상력으로 재해석된 측면도 엿볼 수 있다. 어느 하나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움으로 생략과 덧칠을 통해 새로운 인격을 부여한다.

 

대표적인 작업은 브라질의 사진가 세바스티앙 살가도 <Sebastiao Salgado>(2022)를 비롯한 한국 아방가르드의 선구자 김구림을 묘사한 <Kim Kulim>(2022) 등이다. 큐비즘의 거장 <Pablo Picasso>(2022)와, 무겁고 진지하며 히스테릭한 초상으로 잘 알려진 남아프리카공화국 태생의 작가인 마를렌 뒤마 <Marlene Dumas>(2022)와 같은 작품도 있다.

 

그의 초상화들은 하나같이 인간의 내면을 묘사한 작품이라는 것에서 공통점이 있다. 모든 것을 예술로 불태웠으며 가장 가까이에서 현실과 마주한 채 인간 존재의 의미에 대해 질문해온, 그러나 지금은 역사가 된 삶에서 슬픔으로 추모하게 만드는 평온과 일렁임 역시 동시에 배어 있다. 

 

타인의 초상이 나와 예술을 잇는 심리적 표상이라면, 자화상은 삶의 단락을 옮긴 몸부림이자 예술가라는 존재에 관한 긍지의 표상이다. 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가 그러했듯 자기 모습을 살아 있는 듯이 묘사하는 것이면서 그림과 자신을 분리하지 않기 위해 벌이는 주술에 가깝다. 물론 안은영의 자화상은 현실의 여러 아픔을 잊기 위해, 기쁨과 슬픔을 드러내기 위한 최면과 치유의 차원에서도 해석 가능하다. 

 

이와 같은 흔적은 비교적 구상성 남자의 그것처럼 묵직한 손이 세밀히 묘사된 이 그림을 보면 작가의 데생력이 탄탄함을 알 수 있다. 못 그려서 일련의 추상작업들이 나타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강한 자신의 모습을 그린 <Self-portrait_4, 의식과 무의식>에서 잘 나타난다. 해방에서 오는 자유를 갈구하듯 먼 시선으로 화면 밖 세상을 응시하는 장면, 눈이 가려져 있음에도 바라보는 곳이 명확하다. 이밖에도 그의 자화상은 실존의 무게 아래 형성된 얼터 에고(Altered Ego)와, 자신이라는 존재가 외적 요소들과 연결되는 매개라는 측면도 있다. 

 

2. 작가에게 나와 타인의 얼굴은 고열과 활력을 제공해주는 내 ‘살’의 일부다. 긁어내면 고름이 남고 떼어내자면 내 심장을 도려내는 듯한 아픔을 주는 정신과 육체의 일부이며 공허와 꿈의 원형이다. 그것은 숙명 혹은 운명과 밀접하여 나를 나로써 존재하게 하는 근원이다. 

이와 관련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작업은 작가 아들과의 관계를 인용한 <My son_1, 잡힐 듯 말 듯…>이다. 아이들이 갖고 노는 풍선 장난감 혹은 이미지를 그린 듯한 이 그림은 “아슬아슬 잡으려는 엄마와 날아가려는 아들과의 관계” 를 표현한 것이지만 눈앞에 드리운 관계의 현실과 수천의 심적 시퀀스에 방점이 있다.

 

웅크린 채 울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그린 <My son_2, 절규>는 미안함과 죄스러움의 자의식이 이해와 용서라는 명사 내에 들어서 있다. 이 작품은 흡사 두 개의 형상이 교차되어 있는 <Self-portrait_2, 흐르고 또 흐르고>처럼 어떤 말도 담아 뱉을 수 없는 지워진 엄마의 입술만이 기다림의 고통을 대변해주는 듯 그렇게 깊숙한 적막함에 둘러싸여 있다.

 

개인의 역사를 중심으로 하는 인물화는 대중 친화적이진 못하다. 대신 타인의 부탁에 의해 그려지는 것도, 나를 그리는 것 또한 돈을 버는 행위와는 큰 연관이 없기에 있는 그대로의 외형과 내적인 심리상태가 고스란히 투영된다. 어느 땐 괴로울 만큼 리얼하여 시각의 고통을 주기도 한다. 

 

그 이유는 자신과 닮은 모습을 발견했거나, 낯설기 때문이다. 안은영의 작품도 이에 자유롭지 않다. 그러나 들여다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만 있다면 곧바로 ‘어떤 사람일까?’, ‘어떤 삶을 살아왔을까?’ 등의 궁금증을 유발하는 것도 사실이다. 확실한 건 <Self-portrait_3(눈물)>에서 드러나듯, 그의 자화상은 독백이자 고백, 용기에의 다짐이라는 것이고, 초상화는 대상을 바라보는 화자의 가장 진솔한 창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 안에서 육체와 영혼 속에 담긴 작가의 참 모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3.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의 말처럼 안은영에게 예술이란 ‘사람과 사람을 결합시키는 수단’이다. 보다 내적으론 나의 분신, 너의 자아, 우리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무대다. 그렇다면 본질적으로 안은영에게 ‘그린다는 것’은 무엇일까. 작가마다 다르지만, 그에게 그리기란 무의식의 영역을 의식의 영역으로 전이시키는 과정이다. 행위를 통한 스스로와의 대화이다. 그리고 그것은 또 다른 현실을 빚기 위한 그만의 의례다. 

작가는 그림을 그리는 순간 예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목격한다. 그러한 상황에 이르면 작가는 현실의 것들과 결별한 채 온전한 나로 남는다. 그는 이 같은 과정을 ‘그림으로 쓰는 나날‘로 삶을 채우고 있다. 소통하기 위해, 다가서기 위해, 마주하기 위해. 

 

한편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작품들은 모두 근작이다. 흥미로운 지점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했던 오랜 경험이 자연스럽게 덧대지면서 그림에 변화를 준 흔적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가장 눈에 띄는 조형요소는 화면을 가득 메우고 있는 강렬한 선(線), ‘자유롭고도 무거운 침묵의 선’이다. 유영(游泳)하는 선은 구상이 추상이 되는 단계이자 작가의 치열한 삶에 관한 투쟁의 언표라는데 의미가 있다. 그래서인지 선 가닥마다 자신이 사투하듯 견딘 삶이 녹아 있고, 강한 붓 터치에 절망을 헤집는 삶에 대한 열망을 얹는다. 반면 침묵의 선에선 거침없는 붓 자국 아래 남아 있는 자유롭고 확고한 의지, 용기, 나와 가족 등의 ‘끈’으로부터 해방될 수 없는 다양한 단어들을 읽을 수 있다. 

 

안은영은 겸손한 사람이다. 그런데 누군가에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겸손한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인 것 같다. “알고 보니 나만 틀렸다. 그것도 다 틀렸다.”라고 말하는 작가이기에 오히려 진솔하게 다가온다. 물론 앞으로도 작가의 ‘관계’에 관한 이야기는 더욱 다양한 양상으로 펼쳐질 것이다. 앞으로 열어야 할 문이 많이 남겨져 있기에 이번 첫 개인전은 작가에게도 관객에게도 쉼표와 같은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1)나와 예술의 접점이자 예술의 지속에 관한 스스로의 태도를 규정하는 차원에서 미술사 속 등장하는 익숙한 형상을 가져왔다.

 

 2)남자의 그것처럼 묵직한 손이 세밀히 묘사된 이 그림을 보면 작가의 데생력이 탄탄함을 알 수 있다. 못 그려서 일련의 추상작업들이 나타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3)  정은영 작가 노트 중.

 

▲ 안은영,Portrait of Sebastiao Salgado Acrylic on canvas 100.0x80.3cm 2022  

 

  © 문화예술의전당

  © 문화예술의전당

 

  © 문화예술의전당

  © 문화예술의전당

▲ 안은영,Self-portrait_2(흐르고 또 흐르고) Acrylic on canvas 38.0x45.5cm 2022  © 문화예술의전당



3. 작가노트

     안은영 

            흐르다   

 

  나는 인물을 그린다. 그중에서도 나와 관계가 있는 인물들을 주로 그린다. 여기서 관계의 의미는 내가 그림을 그려 나가는데 영향을 주고받았던 상호관계적인 것이다. 

 

몇 년 전 지독히 그림이 안 그려졌을 때 자화상을 그려보라는 누군가의 말을 듣고 계속 자화상을 그려나갔다. 그리고 자화상을 통해 나의 현실을 투영하게 되면서 내면의 모습을 조금씩 끌어내기 시작했다.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를 바라보려했던 것일까? 어느 순간 나는 현실에서 억압된 것들을 캔버스 위에 고백하듯 그려가고 있었다. 결국은 인물을 그리는 행위에서 작품 구상의 실마리를 찾게 되었고 사유의 폭도 넓어지게 되었다. 우리는 살면서 켜켜이 쌓여진 억압, 불안, 수치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한다. 그것이 때론 눈물로 터져 나오기도 하며 나는 이런 감정 속 흐르는 눈물에서 얇고 굵은 선의 이미지를 착안하게 되었다. 그 선들은 움직인다. 일정한 방향이 없이 마구 춤을 추거나 위에서 아래로 한없이 흐른다. 자유롭게 춤을 추는 선들도 결국은 어딘가로 흐른다. 흐른다는 것은 무언가가 그 자리에 그대로 머물러있지 않고 새로운  것이 그곳으로 들어 올수 있도록 자리를 내어주는 것이며 또 그렇게 흘려보낸다.

 

  2년 전 장마 때였다. 작업실을 나와 쏟아지는 폭우 속에 우산을 들고 돌아다니며 빗물이 모여 하수구로 쏠려 들어가는 장면, 주택의 빗물받이에 모인 빗물이 콸콸 넘쳐 다시 어딘가로 흘러가는 장면, 또 다리 난간에서 졸졸졸 흐르는 빗물 등을 마구 찍어댔던 기억이 난다. 지나고 보니 아마 그때부터 나의 잠재의식 안으로 어떤 ‘흐름’의 이미지가 들어오고 있었나보다. 하지만 나는 때론 잔잔히 고여 있고 싶을 때가 있다.

 

시간이 멈춘 듯 볼륨을 꺼버리고 모든 걸 멈추고 싶을 때가 있다. 이제 그만 제발 그만, 그러나 그럴 때 마다 나를 마구 흔들어 놓는 나와 관계한 인물들(내 작품에선 나의 아들과 나의 예술 활동에 영향을 준 작가들)은 어찌 보면 나를 고이지 않게 해줘서 고맙다.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새로운 것을 갈망하는 예술가로서 고여 있지 않으려 하는 것은 서로의 이해를 이끌어낸다. 흐른다는 것, 그것은 움직이는 것이며 살아있는 것이다. 속도를 낼 필요는 없다. 다만 멈추지 않는 것! 빗물이 어딘가로 끊임없이 흘러감으로써 홍수가 방지되듯 나도 멈춤 없이, 잔잔히 흐르고 싶다. 그래야만 폭넓은 이해와 사유 속에서 나만의 진정한 고집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안은영, Self-portrait_3(눈물) Acrylic on canvas 100.0x80.3cm 2022  

 

4. 작가약력  

           안은영 

 

E mail: eunyoungahn@gmail.com

instagram: 2020esirnus

 

개인전

2022 ‘흐르다’ 갤러리 도스, 서울

 

단체전

2020  ‘Still’展, 목동아트문화센터, 서울

2019  ‘미몽’展, 연남동 오픈스튜디오, 서울

2017  아티스트셀프마켓팅 수료전, 스페이스아트와, 서울

2016  그림책전, Somebooks 그림책 예술학교, 서울

2014  illust zoo展, 갤러리아이엠, 파주

2014  Good life 현대미술 초대展, 인천

2013  Good life展, 서울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0  누드크로키 협회전, 인사동, 서울

 

작품 소장처  

스페이스 아트와

영어 번역   안혜영

촬     영   Moon studio

디자인제작  크레파스

▲ 안은영, Self-portrait_2(흐르고 또 흐르고) Acrylic on canvas 38.0x45.5cm 2022  © 문화예술의전당

 

▲ 안은영 개인전 '흐르다', 갤러리 도스  © 문화예술의전당

안은영 개인전 '흐르다', 갤러리 도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범죄자들이 선동의 깃발을 들고 나라를 흔드는데 한숨만 쉬고 있는 건 보수정치의 직무유기"- 윤희숙 전 의원
1/78